목록분류 전체보기 (240)
미니옵빠의 code stubs
讀書百遍義自見 | 제리 http://blog.naver.com/anytoon/90019689062 ### ftp 명령어 모음 ### ascii : 전송모드를 ASCII모드로 설정한다.(ascii또는 as) binary : 전송모드를 BINARY모드로 설정한다.( binary또는 bi) bell : 명령어 완료시에 벨소리를 나게한다.(bell) bye : ftp접속을 종료하고 빠져나간다.(bye) cd : remote시스템의 디렉토리를 변경한다.(cd 디렉토리명) cdup : remote시스템에서 한단계 상위디렉토리로 이동한다.(cdup) chmod : remote시스템의 파일퍼미션을 변경한다.(chmod 755 index.html) close : ftp접속을 종료한다. (close) delete : re..
성공의 비결은 목표에 대한 끊임없는 노력에 있다. | 백호 http://blog.naver.com/in4maker/110019563649 개발자가 놓치기 쉬운 자바의 기본원리 전성호(커뮤니티본부 커뮤니티개발1팀), 2006년 10월 초록(abstract) 개발자가 놓치기 쉬운 자바의 기본 원리에 대하여 기본적이긴 하지만 개발하면서 느끼고 경험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목차 1 객체지향의 구멍 static 1.1 Java는 객체지향 언어이다? 1.2 전역변수 2 Java는 Pointer언어이다? (Java에는 Pointer밖에 없다?) 2.1 Java는 primitive형을 제외하곤 모두 Pointer이다 2.2 null은 객체인가? 2.3 String에 대하여 2.4 객체지향의 캡슐화 파괴 주의 2.5 배열..
출처: http://blog.naver.com/dalbong97/130005442609 메모리란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때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소이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사용되는 형태, 시간등에 의해 성질을 구분할 수 있는데, 크게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 코드 윈도우 프로그램에서는 Abc.com, Abc.exe 형태의 바이너리 코드를 나타내고, 자바에서는 Abc.class 파일을 말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실행할 코드를 가지고 있으며,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메모리에 로드되어야 한다. 임시 데이터 어떤 특정 함수(메소드)를 실행할 때 필요한 데이터로서, 매개변수, 지역변수, 리턴값 등을 들수 있다. 이러한 임시 데이터는 함수를 수행할 때 데이터를 저장할 공간을..
출처: http://blog.paran.com/yisupark/639325 아파치 설정 ServerType standalone => 서버를 돌리는 방법으로 standalone하고 inet 모드가 있죠. inet 데몬을 이용하는거보다는 당연히 standalone으로 돌려야겠죠.. ServerRoot "/usr/local/apache" => 아파치가 설치된 디렉토리를 가리키겠죠? PidFile /usr/local/apache/logs/httpd.pid => 다 아시리라 생각하고 다음으로.. ServerTokens ProductOnly => 서버 정보를 날려주는 범위를 정해줍니다. apache 1.3.17 이런식으로 나오는데. 위의 줄을 써주면 "apache" 라고만 표시되죠.. 그래서 버전이라든지 다른 ad..
[프리즘]日新日日新又日新 | 선택기로 http://blog.naver.com/p1ngp1ng/120033026832 [출처]http://blog.empas.com/inter999 Extreme Programming(XP) 방법론 개요 “컴퓨터 한 대를 놓고 두 사람이 짝 프로그래밍(pair programming)” “리팩토링(refactoring)이란 방법으로 끊임없이 고치는 코드”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과는 달리 문서를 강조하지 않고 변경을 장려하며, 개발 초기부터 테스트를 병행할 것을 강력히 권고하는 새로운 방법론이다. 1996년 켄트 백(Kent Back)과 워드 커닝험(Ward Cunni ngham)은 함께 다임러 크라이슬러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을 정리하게 되..
fuser : displays the PIDs of processes using the specified files or file systems 보통 NFS 로 마운트된 폴더 등을 누가 사용하는지 볼 때 사용 주로 쓰는 명령은 /sbin/fuser -vm 폴더위치 다음은 긁어온 fuser 사용법 원문: http://blog.empas.com/hcruel/9526757 user라는 명령어는 주로 많이 사용하지는 않지만, 아주 유용하다... fuser은 예를 들어서 설명하겠다... /var 라는 디렉토리에 현재 어떤 데몬이나 유저가 접근해 있는지 알고 싶을 때, 또는 nfs로 마운트 되어 있는 디렉토리를 umount하고 싶은데 umount가 안될 때 사용하면 좋다.. 사용밥법은 다음과 같다. # fuser ..
지식iN > 컴퓨터, 통신 > 운영체제 > 유닉스 질문: nohup *command* 1>/dev/null/ 2>&1 & ...? yundarz / 2006-06-02 15:51 nohup 실행파일 1>/dev/null/ 2>&1 & 유닉스 명령에 nohup 란 것이 있읍니다 여기서 .1>/dev/null/ 2>&1 이부분이 의미 하는바를 모르겠습니다. 특히 숫자 부분...^^ 혹시 아시는 분을 알려 주세용 ^^^ 답변: re: nohup *command* 1>/dev/null/ 2>&1 & ...? phalm / 2006-05-29 12:55 1번 (stdout)을 /dev/null로 보내고 2번(stderr)를 아까 1번으로 보냈던 곳으로 보내란 소립니다. 쉽게 말하면 결과값이 에러든, 정상적인 메시..
i`m a Kelevra But thats Ok | 시공포착 http://blog.naver.com/storm99m/150000856368 리눅스 서버 2대에 사용중이다. 일주일간의 주요 파일과 /home 밑의 각 파일을 백업하고 7일지난후에 자동으로 삭제해주는 초간단. 쉘 스크립트. cron에 백업하고 싶은 시간대에 넣어주는 센스만 발휘하자. #!/bin/bash export Today="`date '+%y-%m-%d'`" ########### Old BackupData Delete #### dirlists=`/bin/ls -t /backup/home 2>/dev/null` i=1 for dir in $dirlists ; do if [ "$i" -ge 7 ] ; then /bin/rm -rf /back..
카페 > 차니의 컴퓨터 마을 | newchany http://cafe.naver.com/newchany/222 NFS(Network File System) 1. NFS 부팅시 자동실행 설정방법 # ntsysv 실행 후 nfs 체크해줌 2. NFS RPM 설치 여부 확인 # rpm -qi nfs 혹은 # rpm -qa | grep nfs 만약 NFS가 설치되어 있지않다면 먼저 설치 한다. 3. NFS 실행 여부 확인 수동 실행 [root@ns down]# rpcinfo -p 프로그램 버전 원형 포트 100000 2 tcp 111 portmapper 100000 2 udp 111 portmapper 100024 1 udp 32768 status 100024 1 tcp 32769 status 위와 같이 정보가..
카페 > cmd...........!.. | cmdir http://cafe.naver.com/cmdir/37 1. automake : 사용자 시스템의 플랫폼 종류와 현재 설치된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를 찾아서 적절한 내용의 Makefile을 생성하는 역할. ->프로그램 제작자는 automake가 작업을 할 기초 내용을 제공하는 Makefile.in이나 configure.in등 의 파일을 재공한 후에 사용자가 자신의 시스템에서 적절하게 Makefile을 생성하도고 함 2. configure 스크립트 : automake를 사용하기 쉽도록 구성한 것. 3. make depend : 실제 컴파일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의존 파일을 구성할 때 구성 4. make : 아무런 구성 대상의 지정 없이 make를 실행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