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OS/Linux (53)
미니옵빠의 code stubs
yum install 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날 경우 rpmdb: Thread/process 95158/140712769378208 failed: Thread died in Berkeley DB libraryerror: db3 error(-30974) from dbenv->failchk: DB_RUNRECOVERY: Fatal error, run database recoveryerror: cannot open Packages index using db3 - (-30974)error: cannot open Packages database in /var/lib/rpmCRITICAL:yum.main: 아래 명령어로 DB 파일을 삭제하면 됨 rm /var/lib/rpm/__db*
일단 hang 걸리면 서버는 reboot 해야 함 - /var/spool/postfix/maildrop 위치에 파일이 너무 많이 쌓여 inode full 상태가 주요 원인임- crontab 의 실행결과 내용 (성공이던 실패던)이 메일로 전송되고, 이 메일을 보낼 수 있는 환경이 안되어 있어 (sendmail 이 동작하지 않는다거나) 발생 실패, 해당 위치에 파일은 계속 쌓이는게 주 상황 해결방법- /etc/crontab 또는 개별 계정의 crontab 에 MAILTO = "" 설정-- centOS에서 이걸로 해결 안됨. 메일을 계속 보냄 - /var/spool/postfix 폴더를 통째로 삭제하거나- crontab 내 구문 설정시 stdout 등을 설정예)* * * * * /script/run.sh 2>..
bash 파일 내에 sed 명령어를 넣었는데, crontab 으로 실행했을 때 먹통이 되는 경우 예) a.shsed -i 's/find/repl/g' a.txt이 경우는 a.txt 파일의 인코딩이 UTF-8 이고, crontab 실행 환경은 인코딩이 ko_KR.eucKR 인 등 서로의 인코딩이 맞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임. bash 내 인코딩 설정을 추가하면 됨. 예) a.sh (UTF-8 파일인 경우)export LANG=ko_KR.UTF-8sed -i 's/find/repl/g' a.txt 이렇게 하면 실행환경의 인코딩이 변경되어 정상 동작
1. Grep 로 OR 조건으로 2가지 조건 이상 획득 탐색 문자간 | 를 이용하면 되며, \| 로 Escape 하여 사용grep '#AAA:\|#BBB:' 2. Sed 로 2줄 이상 Merge 아래 예시는 줄바꿈을 Tab 으로 일괄 변경. N 은 그냥 Multi line 이라고 생각하면 빠를 듯.sed 'N;s/\n/\t/' ko.01.txt "N" 등의 Label 참고: http://askubuntu.com/questions/461191/what-is-the-meaning-of-an-in-a-sed-command
Crontab 내 % 기호를 직접 사용할 경우 \% 로 escape 처리해야 정상 동작한다.(이게 싫으면 별도 script 파일 만들어서 Crontab 에 등록하면 됨) 0 10 * * * /usr/bin/rsync -avz aaa::bbb.xml /home/ccc_$(date -d yesterday '+\%Y\%m\%d').xml
1. http://www.proftpd.org/ 에서 FTP 파일 다운로드 및 설치 2. Config 파일 수정 (etc/proftpd.conf)대부분은 기본으로 두어도 되고, 아래 항목을 추가 # 'proftpd.conf' for actual use. It establishes a single server# and a single anonymous login. It assumes that you have a user/group# "nobody" and "ftp" for normal operation and anon. ServerName "FTP - tod2"ServerType standaloneDefaultServer onServerLog /xxx/yyy/logs/ftp/proftp.log UseRev..
리눅스에서 free 명령으로 메모리 사용량은 다음과 같이 분석한다. 예)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Mem: 3924568 3805036 119532 0 226064 2734964-/+ buffers/cache: 844008 3080560Swap: 2097144 0 2097144 * 사용자 입장에서 사용 가능한 메모리: Free + Buffers + Cached 즉, 위에서는 119532 + 226064 + 2734964 로 총 3080560 byte 이다. * 귀찮게 계산하지 말고, -/+ buffers/cache 항목의 used 항목을 보면 된다. * buffers 영역: disk 에 기록하기 전 저장해두는 메모리 영역. 실체는 아직 없음* cached 영역: ..
[Server]1. NFS 로 연결할 폴더 준비2. /etc/exports 파일 생성 및 접근 권한 추가/home1/irteam/nas 10.101.43.2(rw,sync) (폴더 path 클라이언트 IP (rw|ro,sync) 3. NFS 서비스 start/sbin/service nfs start 4. NFS 설정이 잘 되었는지 확인/usr/sbin/exportfs -v [Client] 1. portmap 서비스 실행/sbin/service portmap status 로 실행 여부 확인 후/sbin/service portmap start 2. 서버의 NFS 공유 내역 확인/usr/sbin/showmount -e 10.101.27.162 (서버 IP) 3. 클라이언트의 마운트 될 폴더 생성 (mkdir)..
1. zmodem 설치yum install lrzsz 2. binary 모드 설정rz -b sz -b[출처] rz / sz|작성자 다니